-
암갤) 클라이밍 잘하려면? 시기별 주의사항?운동/클라이밍 트레이닝 2020. 2. 13. 14:48반응형
1. 시작부터 5.10a ( ~ 3개월 가량 보통? )
클라이밍 시작하면 그냥 홀드만 잡고 돌아댕겨도 재밌고, 어떤 문제든 재밌다 ( 나만 그랬나? )
아무튼 그냥 홀드 열심히 잡자. 클라이밍 합니다. 볼더링이건 지구력이건 열심히 합니다. 3개월정도?
트레이닝이고 뭐고 생각할 때가 아닙니다.
2. 5.10b/c , V2/3 ( 3~6개월, 첫 정체기 )
그렇게 3개월 정도 열심히 하다보면 5.10b/c정도부터 슬슬 계속 늘어날 것만 같던 실력이 점점 느려지고, 깨지지 않는 문제들이 늘어갑니다.
이때부터는 주의해야할 것들이 생깁니다.
일단 욕심이 생겨서 당할 수 있는 부상들!
지구력 위주라면
점점 높아지는 난이도에 크림프그립을 많이 사용하기 시작할텐데, 본인이 시도하는 문제에서 크럭스를 제외하고도 계속 홀드를 말아쥔다면
손가락 염증 및 관절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오픈그립으로 갈 수 있는 동작이라면 조금 더 힘들어도 오픈으로 갑시다. 못갈때만 크림핑하기!
* 크림프 - 통상 한마디 정도 걸리는 홀드를 크림프 홀드라고 하며, 90도 정도 각도로 마디를 세워잡으면 하프크림프, 엄지를 검지위에 올려 꽉 말아 잡으면 풀크림프라고 합니다.
* 오픈핸드 - 손 마디를 세우지 않고 자연스럽게 잡는것.
볼더링을 많이 하는경우
위처럼 크림프 그립은 몇 동작 되지도 않는거 문제 풀라고 온건데 잡아야지 어쩌냐 싶다면 , 운동 끝난이후 10-15분 가량 아이싱을 합니다.
그리고 손가락이 많이 아파온다 싶으면 문제 자체를 억지로 풀기 보다는 안아픈 문제를 찾아서 풉니다. (집착하다보면 다칩니다)
& 그리고 이제 점점 뛰고 던지는 문제들도 제법 잘하게 될텐데 어떠한 문제들이건 본인 한계치를 암장 오자마자 바로 붙으면 다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언제나 워밍업을 충분히 합니다. 플래쉬 가능한 수준의 문제들을 1시간 정도는 해주고, 프로젝트 합시다.
그렇지만 이 시기에 욕심보다는 의욕이 꺽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트레이닝으로 극복 or 실제 자연에 나가서 새로 의욕을 충전 or 같이 운동할 좋은 친구를 사귄다 등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트레이닝
-일단 6개월 정도 까지는 그저 턱걸이 많이 합시다.
턱걸이를 못하면 발로 홀드를 딛고 올라가고 -> 네거티브 -> 점프하면서 턱걸이 -> 3개이상 된다면 가동범위를 최대한 높이면서 턱걸이 .
그리고 10개 이상하면 그냥 하루에 100개씩 하세요. 안쎄질수가 없어요.
* 아 근데 100개는 솔직히 클라이밍에 미친놈+신체가 원래튼튼하지 않으면 안될꺼니깐, 보통사람 기준 30개는 매일하세요. 너무 무리한 목표를 잡으면
하루하고 그만둘꺼니깐...
손가락이고 뭐고 아직은 시기가 이릅니다.
자연 바위(볼더링or스포츠루트)
-시간이나 주변환경이 도와줘야하는데... 뭐 도와달라고하세요 주변에 분명 있을겁니다.
좋은 친구 사귀기
-솔직히 열심히 하면 주변에 열심히 하는 사람 존재하고 같이 하면 재밌고 그러면 늘게 됩니다.
3. 5.11대 / V4 ( 6개월~1년 )
이 시기에 평생 머무르는 클라이머가 사실 대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5.10대 클라이머 60퍼 / 5.11대 30퍼 / 5.12대 이상은 10퍼 미만일듯 )
취미로 하기에 충분히 즐겁고, 더 잘하려면 조금씩 포기해야하는게 생깁니다.
클라이머로써 5.12이상 V5이상 가고 싶다면?
일단 남은 시간을 클라이밍에 최대한 투자합니다. 친구는 사실 안만나도 되니깐 버립니다. 암장에 친구많으니깐요.
술도 먹고 여자만나도 5.13a / V8까지는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친구까지 만나면 힘들어요.
바위다닐 친구면 충분합니다.
그렇게 삶을 갈아넣습니다.
사실 클라이밍 잘하려면 꾸준히 재밌게 안다치고만 지킬수 있으면 됩니다.
재밌기 위한 프로젝트를 잡거나 & 좋은 클라이밍 파트너 만나기 & 여자친구가 클라이밍에 미쳐있다 이런 요소들을 만들면 됩니다.
부상관리는 언제나 워밍업하고 몸의 말을 좀 듣기( 아프면 적당히 하자 )
뭐 턱걸이 손가락트레이닝 복근운동 등등 많겠지만 선수 할꺼 아닌 이상은 그 이전에 다른 요소들을 먼저 찾아주세요.
* 다만 실제 경우로 제가 클라이밍하면서 후회했던것은 운동 초반에 잘하시는분들 손마디 굵은거 보고 저래야 잘하는거라 생각하고 염증관리 안하고
무식하게 운동했었는데, 오픈그립 많이 잡으시고 핀치 많이 잡고 , 크림프는 불가항력일 경우만 잡으시고, 심하게 빡세게 잡은날은 아이싱(10~15분 운동후)!! 해주세요. 손가락이 제일 중요하잖아요?
아 그런데 V9이상은 좀더 체계적이거나 초월적인 열정이 필요하거나 재능도 필요하겠지만, 보통의 사람들은 이정도만 하시면 더 느는데 문제 없으실듯합니다!
트레이닝 이런건 유투브 찾아보면 다 알수 있잖아요? 다만 실천이 문제일 뿐이니깐요. 더 쓰지는 않을께요 ㅎㅎ
반응형'운동 > 클라이밍 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5.14c Rhapsody 루트를 위한 지구력 트레이닝 방법 1탄, DAVE MACLEOD (0) 2024.08.11 클라이머들을 위한 행보드 트레이닝 가이드 (5) 2023.10.23 프로젝트를 준비하는 클라이머들을 위한 조언 (0) 2022.10.27 핀치그립 트레이닝을 제대로 하기 위한 에릭 호스트 코치의 조언 (2) 2022.07.25 암갤) 트레이닝 (행보드, 턱걸이, 캠퍼싱) (0) 2020.02.16 호석클라임 - 클라이밍을 위한 보조 트레이닝 (초급자부터 중급자까지) (0) 2020.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