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G
-
[헬갤] 데드리프트에 관한 기초적인 11가지 팁운동/정보 2012. 8. 12. 18:55
1. 시작점에서 엉덩이는 최소 무릎보다 위에 있어야한다. 무릎아래엉덩이 위치시 등하부에 스트레스가 크게걸리고, 역학적 측면에서 힘을내는데 불리하다 (시소를 생각하고 받침대를 골반, 바벨을 시소 한쪽 끝에 얹은 무게라고 생각하자 엉덩이가 올라갈수록 골반과 바벨의 거리는 가까워 지고, 엉덩이가 내려갈수록 골반과 바벨의 거리는 멀어진다 바벨과 골반이 멀어질수록 바벨에 의한 돌림힘이 커져서, 데드리프트시 골반과 하체가 더 큰 힘을 내야한다) 다만 엉덩이가 너무 높아질수록 하체의 힘의 개입이 적어지므로 너무 높은 엉덩이 높이로는 최대의 스트랭스를 낼수 없다. 다리가 길고/몸통이 짧은 사람은 다리가 짧고/몸통이 긴사람에 비해 엉덩이 높이가 높아야한다. 2. 어깨가 움직이기 전에 엉덩이가 먼저 치고 나오지 않게 한다..
-
[헬갤] 허리를 망치는 스쿼트 습관 3가지운동/정보 2012. 8. 12. 18:51
갤도 한산하니 운동글 전에 정리해둔거 재탕합니다 이미 보신분은 패스하세요 -짤방은 잘못된 스쿼트 자세 1. 스쿼트시 사용하는 무게가 기립근이 버티기에 너무 무겁다 - 특히 하이바 스쿼트의 경우 몸의 중력중심으로부터 더 멀어져서 기립근이 버틸수 없는 무게가 되면 등하부가 굽게 되고 이는 등하부에 지나친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 있다. - 로우바 스쿼트로 지렛대 팔의 길이를 줄이거나(긴 막대기 보다 짧은 막대기가 구부리기가 더 어렵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차라리 무게를 낮추는게 좋다. - 더 심한 경우는 상체가 바벨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상체가 숙여지면서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려버리는 경우이다.(위 그림 참조) 이경우 등하부뿐 아니라 무릎에도 스트레스가 전가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2. 너무 깊이 앉는다 - 맨..
-
[헬갤] 부상을 부르는 데드리프트 3가지 실수운동/정보 2012. 8. 12. 18:50
핼갤님, 특히 2번 잘 읽어보시고 궁금하신거는 질문 주세요 1. 무릎을 너무 일찍 락(lock)한다 - 데드리프트 중반부 동작에서 무릎은 #2 이미지처럼 "lock"되면 안된다. - 데드리프트 중반부 동작에서 무릎은 #1의 이미지처럼 아직 굽혀진 채로 있어야 한다. - 데드리프트 중반부 동작에서 무릎을 lock 하는 동작은 대퇴사두 및 이두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게 만들어 전체 하중을 등하부에 집중시키고 잠재적으로는 부상을 유발한다. 2. 바벨을 처음 바닥에서 들어올릴때 무릎을 펴는 동작을 가장 먼저하고 난 후 몸통을 펴주고 엉덩이를 수축한다 - 주로 데드리프트 첫동작에서 엉덩이가 먼저 올라가는 경우이다 - 데드리프트 동작은 엉덩이이가 올라가는 속도와 몸통이 펴지는 속도를 같게 맞춰야 한다. - 엉덩이가..
-
[헬갤] 사이드 레터럴 레이즈의 2가지 시점운동/정보 2012. 8. 12. 18:49
비하인드넥프레스로 측면삼각근을 큼지막하게 만들겠다는 포부는 너님들의 희망사항일 뿐이라는 현실을 깨달을 수있다. 측면삼각근을 키우기 위해서는 프레스를 졸래하라고? 실제 리프팅 가동범위에서 측면삼각근이 동원되는 부분은 극히 일부이며 개인적인 경험으로는마지막 락아웃수축점에서 견봉이 들리면서 견관절이 외전되는 아주 짧은 거리점밖에는 없는듯하다. 결국 비하인드건 밀리터리프레스건 덤벨이건 프레스류는 전면삼각근이 전부다. 그만큼 전면삼각근은 어깨의 핵심이며 파워를 관장하는 메인 엔진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측면삼각근을 키워서 어깨뽕을 자랑 할 수 있을까 우선 측면삼각근의 특성을 알아야한다. 측면삼각근은 익상근이다 깃털처럼 빗살모양으로 결을 이루는 익상근은 면적대비 다수의 근섬유를 보유한대신 실제 가동범위는 매우 짧다..
-
[헬갤] 바벨로우 그립에 관하여운동/정보 2012. 8. 12. 18:46
1.바벨로우 오버그립 - 오버그립은 광배근 전체 자극을 위해 좋다 - 팔꿈치를 몸에서 떨어뜨러 명치 위쪽으로 올리면 등상부및 승모근이 먹는다 - 팔꿈치를 몸에 가까이 붙여서 팔꿈치가 호를 그리듯 엉덩이 쪽으로 올라가면 광배근에 최대한 집중할 수 있다 2. 바벨로우 언더그립 - 이두근의 개입률이 높아진다 - 손목이 외전되어진채로 팔꿈치가 올라가므로 광배근 하부를 집중적으로 공략할 수 있다 3. T바로우 - T바로우가 따로 없어도 바벨봉을 구석에 끼우고 플레이트를 한쪽에 얹으면 T-바로우를 할 수 있다 - 패러랠 그립(오른손 왼손 엇갈려 마주보게 잡는것)은 등 중앙을 먹이기에 좋다 - 완전가동범위를 써서 하는것도 좋지만 가끔은 완전히 광배근은 이완시키기 전에 끌어당겨서 부분 반복으로 등 중앙에 집중해서 계속..
-
[헬갤] [인체 이야기] 왜 유도선수는 힘은 센데 왜 근매스는 안큰가?.txt운동/정보 2012. 8. 12. 18:45
근육량이 많으면 물론 더 큰 부하에 대한 저항운동을 수행할 수 있지만, 같은 근육량을 가진 사람이라도 1. 건과 인대가 튼튼하고 2. 근신경계가 발달하여 운동수행시 더많은 근섬유를 참여시킬 능력이 되는 사람은 더 힘이 셉니다 3. 근신경계와 관련하여 각운동마다 사용되는 근육이 다르고 특정동작은 근육의 힘만으로 되는것이아니라 여러번 같은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신체가 그에 적응하여 수개의 근육간에 상호간 협응력이 길러져 적절하게 사용되어야만 가능한 것입니다 특정동작을 수행하기위해 수개의 근육간 적절한 상호 협동능력이 길러질경우 같은 근육량을 가진사람이라도 더 많은 무게를 들 수 있습니다 4. 또한 위의 협응성과 조금더 관련하여 특정 동작수행할때의 근육과 중량을 가진 물체사이의 적절한 지레(leverage)를 ..
-
[헬갤] 등운동-로우의 중요성운동/정보 2012. 6. 12. 02:26
벤트오버 바벨로우... 개인적으로 등운동중 가장 효과적이며 중요한 운동이라 생각한다. 승모근 중하부를 비롯하여 광배근,척추기립근 등의 주요부분은 모두 자극 할수있다. 특희 주목할것이 승모근 중하부인데 수평당기기인 로우의 특성상 이부분 강화에 매우 탁월하다고 할수 있는 것이다. 치닝 위주의 운동으로 단순히 너비만 넓은(대원근 바깥쪽) 그런 등보단 승모근 하부부터 광배근 하부까지 둥그렇게 이어져 두툼하게 오른,마치 등 가운데 두껍게 날이 선것처럼 보이는 그런등이 최고라 말할수 있겠다. 말이 나온김에 한마디 더 하자면 요즘 추세상 단순히 너비만 넓은 등으론 시합장에서 크게 어필하기 힘들다. 심사위원들의 주된 심사기준은 브이자형 등이 아닌 등중앙이 두껍게 튀어 오르고 광배근 하부까지 얼마나 둥그렇게 꽉 찼나,,..
-
[헬갤] Q & A운동/정보 2012. 6. 6. 22:07
Q제가 X배엽인 것 같아요 A배엽이론 원래 법의학에 사용 되었던 이론이고 개소리로 판명 남. 먹어도 안 찌는 체질, 살이 잘 찌는 체질이란 말을 사용하자. Q팔 다리에 골고루 살 찌는 법 알려주세요 A운동하면서 먹으면 알아서 골고루 살 찜. 더 이상 자세하게 설명하는 건 1+1이 어째서 2인지 레포트 10장 꽉꽉 채워서 증명하는 행위와 똑같음. Q특정부위 살 집중적으로 빼는 법 알려주세요 A그거 알아냈으면 진작에 노벨생리의학상 받았지. Q우락부락한 근육은 싫어요 A병신. ㅋ Q제가 하체가 발달한 편인데요 A평소에 축구와 농구를 즐기는 편이라면 인정하는데 그게 아니라면 님 상체가 너무 멸치여서 하체가 발달한 것 처럼 보이는 착시임. Q제가 승모근이 발달한 편인데요 A님이 거울 볼 때 어깨 힘 빼서 축 늘어..